외딴 섬, 배 한척 - 교육단상
인간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도덕적 상황을 만나 자신이 배우고 익힌 도덕적 능력을 통해 해결하면서 살아간다. 인간은 자신의 도덕적 능력을 학습이든 노동이든 유희든 다양한 행동양식을 통해 발휘하면서 삶의 성취를 이룬다. 다양한 도덕적 문제를 만났을 때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은 직접경험과 간접경험을 통해 얻은 내용들이다. 직접경험은 사람들과의 대면적 만남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며, 간접경험은 책이나 영화, 교육 같은 문화적 기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중 직접 경험은 가정의 인간관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가정의 인간관계는 가정교육의 바탕이 된다. 특히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통해 아이는 정서적 안정감과 도덕적 가치관을 형성한다.
최근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과거 대가족 제도 아래의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교육환경에서 벗어나 핵가족제도 아래의 수평적이고 주체적인 교육환경으로 변화하였다. 과거의 대가족 제도 아래에서 부모의 훈계와 가치관은 아이들에게 도덕적인 가치관과 행동의 준거틀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부모는 아이들과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아이들의 꿈과 인생계획 및 인권 존중의 가치를 자발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가정교육에서 부모의 가치관과 정서적 태도는 아이들의 도덕적 선택에서 아주 중요한 가치기준으로 작용한다.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태도와 사랑하는 태도에서 아이들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지키고자 하는 도덕적 용기를 발휘할 수 있다. 부모의 태도가 무관심하면 아이는 변명과 핑계의 구실을 찾아 위기를 모면하기도 하고, 부모가 지나치게 간섭하면 아이는 이중적 가치를 통해 자기 행동을 정당화하고, 부모가 과잉보호하면 아이는 자신의 비도덕적 행위도 무감각하게 여긴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태도는 아이의 성장과정에서 정서적 안정감이나 불안감, 도덕적 용기와 도덕적 무감각 등의 태도를 형성한다.
부모의 학력과 경제력이 아이들이 선택할 수 있는 학교를 결정하고 학업성취와 비례하는 현대의 가정에서 부모들에 대한 자녀들의 의존도는 더욱 높아져 자녀들은 부모의 교육태도에 따라 다양한 도덕적 자아를 형성한다. 부모의 교육태도에 따라 형성된 자녀들의 도덕적 자아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구체적인 도덕적 상황에서 용기를 발휘하게 하게도 하고, 자신의 이해관계에 근거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현대의 가정에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태도 중 눈여겨 볼 문제는 자기 자녀에 대한 사회적 지위와 높은 소득에 대한 기대를 안고 있다는 점이다. 성적지상주의와 직결되는 부모의 기대심리는 빠른 시간 안에 경쟁에서 이겨 좋은 결과를 얻어야 하는 효율성의 교육태도를 보인다. 부모의 자녀교육에서 특목고 진학과, 일류대진학으로 상징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 조급함과 불안감을 보인다. 부모와 자녀사이의 다정다감한 대화의 시간보다는 높은 학력을 성취하라는 명령어가 일반적인 대화로 자리 잡는다. 그 결과 부모는 자녀에게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과잉보호를 한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무관심도 자녀에게 좋은 결과를 할 수 없는 좌절의 한 표현방법이다.
부모의 과잉보호는 도덕성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아이들은 자신의 도덕적 판단 기준이 부모의 가치관에 부합되는 행동을 한다. 눈치를 보고 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의 보상에 대한 기대심리를 갖고 좋지 못한 결과를 얻었을 때 벌에 대한 두려움을 갖는다. 성적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은 것에 만족하고 과정에 대한 고민이나 정당한 노력에 대한 개선을 반성하지 않는다. 좋지 않은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부정행위나 거짓말 등을 통해 자기 합리화를 시도한다. 더 나아가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진학만을 강조하는 부모의 가치관과 간섭, 과잉보호의 태도는 정성과 인정, 협력과 협동, 상호이해, 공존과 상생의 사회적 덕목은 사라지게 하고 그 자리에 경쟁에서의 승리만이 자리 잡게 만든다. 진로에 대한 차분하고 반성적인 고민할 시간을 사라지게 하고 지배하는 힘만을 숭상하게 만든다. 이해와 공감의 정서적 태도는 사라지고 불신과 독선을 자리 잡게 만든다. 소통과 융합 같은 사회적 가치는 사라지고 승리와 패배만이 자리 잡는다.